[부산 양산 정관 김해 타일 하자보수] 건물 바닥 들뜸 소동…원인은 '타일 재질·크기'
부산 경남 모든 타일 수리 하자보수 시공 전문
타일시공은 믿고 맡길수있는 전문시공업체가 해야합니다. 저렴하다고 부실시공을 하게되면 몇년되지 않아 솟아오르고 금이 갑니다.
https://blog.naver.com/jooom10
부산.경남 양산 정관 김해 명지 타일 금 들뜸 깨짐 떨어짐 터짐 크랙 솟음 배부름 박리 하자 보수 수리 부분교체 타일무너짐 타일터짐 타일팽창 타일갈라짐 수리보수공사전문
타일수리 하자보수 전문 010 7431 1239 잇츠타일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잇따른 건물 바닥 들뜸 소동…원인은 '타일 재질·크기'
전문가 "구조 안전 문제 없어, 면적 작은 타일 쓰면 돼"

건물 무너짐 신고 들어온 사무실 19일 오전 건물 무너짐 신고가 들어온 광주 서구 치평동 한 사무실에서 바닥이 들떠 있다.
건물 바닥 면이 갑자기 솟아올라 입주자들이 황급히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지는 등 바닥 들뜸 현상이 잇따르며 그 원인이 주목된다.
지난 19일과 21일 광주 서구와 남구에서 각각 5~6층 건물 바닥 타일에 금이 가거나 들뜨는 현상이 발생했다.
해당 건물 입주민은 물론 광주 화정아이파크 붕괴 사고 등을 겪은 시민들은 건축물 안전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러한 현상은 구조적 안전 문제와는 거리가 먼 것으로 파악됐다.
해당 건물에는 바닥에 큼지막한 세라믹 계열의 타일이 시공됐다는 공통점이 있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이 재질의 타일은 온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특성이 있는 반면 타일과 접착해 있는 콘크리트는 온도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재질의 타일을 사용한 곳이라면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지거나 올라갔을 때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특히 바닥에 부착된 타일의 면적이 클수록 이러한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
과거에는 세라믹 계열 타일이 사용되기는 했으나 타일 면적이 작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일이 적었다.
시대와 유행이 변함에 따라 최근에는 큰 타일을 선호하게 되면서 흔히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설명한다.
이번 들뜸 건축물을 조사한 건축구조기술사는 "(큰 타일을 쓰는) 현대의 시공 기법은 겨울철 급격한 온도 변화를 예측하지 못한 것 아닌가 싶다"며 "이를 예방하려면 세라믹이 아닌 다른 재질의 타일을 사용하든지 면적이 작은 타일을 사용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앞서 19일 낮 12시 31분께 광주 서구 치평동 6층 규모 건물에서 큰 소리와 함께 바닥이 솟아오르며 건물이 무너질 것 같다는 신고와 함께 사무실 상주 직원 11명이 대피하는 소동이 일었다.
이틀 만인 21일 오전 8시 50분께에도 남구 월산동 5층 상가에서 바닥 타일이 들떠 상주 인원 10명이 대피했다.
두 건물 모두 건축물 구조 안전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잠정 확인됐다.

상가 건물 타일 들뜸